교육 목적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주도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새로운 연구 개발문제를 진단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동적인 고급 전문 인력을 양성하도록 한다.
교육 목표
- 급속한 기술 발전에 민첩하게 적응하고 연구 및 신기술개발을 독창적으로 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한다.
- 신성장동력산업 중 전자·정보통신 및 융합 기술에 관한 새로운 연구 개발문제를 진단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한다.
- 대덕 R&D 특구 및 지역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급 연구개발 인력의 재교육 및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용적인 기술개발 능력을 배양 한다.
전공분야
전공 분야 | 개요 |
---|---|
전자공학 (Department of Electromic Engineering) |
반도체 혹은 기타 물질에서의 전기, 자기 및 전자의 역학원리를 이용하여 반도체, 컴퓨터, 전자장치, 통신, 로봇, 소프트웨어 등으로 연구, 개발, 유지보수하는데 필요한 선진이론 및 응용원리를 교육하는 분야로 학부과정의 교육내용을 심화시키고자 함. |
전임교원 명단(박사과정)
성명 | 직위 | 학위 | 전공 분야 | 연구 분야 |
---|---|---|---|---|
이귀연 (李貴緣) |
교수 | 공학박사(연세대학교) | 전자공학 | 반도체 및 마이크로파 회로설계 |
이일근 (李一根) |
교수 | 공학박사(Oregon State Univ.) | 전자공학 | 무선통신 및 신호처리 |
최진규 (崔眞圭) |
교수 | 공학박사(고려대학교) | 컴퓨터공학 | 컴퓨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
최인식 (崔仁植) |
교수 | 공학박사(POSTECH) | 전자공학 | 전파공학 |
박병주 (朴昞周) |
조교수 | 공학박사(University of Florida) | 전자공학 | 유비쿼터스/모바일통신 및 유/무선 네트워크 |
이재광 (李載廣) |
교수 | 공학박사(광운대학교) | 전자계산학 | 암호, 정보보호, 네트워크 보안 |
엄지용 (嚴智湧) |
조교수 | 공학박사(POSTECH) | 전자공학 | 혼성모드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
강현구 (姜顯求) |
조교수 |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 전기공학 | 전력시스템 해석 및 운영 |
남충희 (南忠熙) |
부교수 | 공학박사 (GIST) | 전기에너지소재 | 신소재 기반 전기에너지/수소에너지 |
학과내규
선수과목 이수대상자 및 이수학점, 교과목 이수원칙, 논문발표(학술지) 등을 규정
1) 선수과목 이수
전기전자전산계열 이외의 학부 졸업자가 본 석사과정 혹은 박사과정에 입학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수할 선수과목 및 학점을 전공교수 회의에서 정한다.
2) 종합시험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 종합시험은 일반전공은 3문제 이상을 출제하여 선택가능하도록 하고, 특수전공은 2문제 이상을 출제하여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3) 졸업논문발표
가. 석사과정을 졸업하기 원하는 자는 국내외 학술대회 혹은 논문지에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여야 한다.
나. 박사과정을 졸업하기 원하는 자는 국내외 논문지에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여야 한다.
교과목 구성 : 전공분야, 교과구분, 교과목 명칭, 학점
전공분야 | 교과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
전자공학 | 박사 기본 | 영상신호처리특론, 로봇공학특론, 고급전자기학 | 3 |
박사 중급 | 신경회로망, 이동및위성통신특론, 고급디지털신호해석, 고급신호및잡음이론, SOC설계특론, 고성능마이크로프로세서, 임베디드시스템설계특론, 마이크로파회로설계특론, 레이다공학특론, 제어시스템특론, 통신망특론, 데이터변환기설계 | ||
박사 심화 | 고급통신시스템, 고급반도체공학, 시스템시뮬레이션특론, 컴퓨터시스템세미나, Filter설계특론, 병렬처리특론 | ||
연구과목 | 박사논문연구 I,II,III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