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시스템특론 (Advanced Communication Systems)
통신이란 신호원(source)으로부터 시간과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목적지(destination)로 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가르킨다. 통신 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은 인류의 문화, 경제,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현재는 위성통신, 이동통신, 광통신, 이동위성통신, 정보통신 등 세부적인 학문분야들로 나뉘어 하루가 다르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학부과정을 통하여 전반적인 통신이론 및 시스템에 관련된 기본지식을 습득한 전기, 전자 및 통신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 학생들을 위하여,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통신분야에의 용이한 접근과 그에 대한 응용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본 과목에서는 먼저 통신의 개요, 신호와 시스템의 분류, Fourier Series, Fourier Transform 및 그 응용, PSD, ESD, 상관함수 및 그 특성연구, 진폭변조(AM, DSB-SC, SSB 등) 및 복조, 각변조(FM∞PM) 및 복조 등의 기본적인 통신이론들과 함께, 연속신호의 표본화, TDM, PCM, PAM, PWM, Line Coding, Pulse Shaping, Regeneration Detection 및 ASK, PSK, QAM 등의 디지털 통신시스템 이론을 이용하여 광통신,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실재 유무선 통신 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 등의 내용들을 다루며, 이론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개별 또는 그룹 Project를 부과할 수 있다. 본 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 미분적분학 등의 기본 수학이론 및 회로이론과 기본적 통신이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더욱 유리할 것이다.
This course deals with analog an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alog an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classification, digitization of analog signals, and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which are required in the field of analog an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Furthermore, for the graduate students, this course handles advanced digital communication application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s and satellite communications.
영상신호처리 (Digital Image Processing )
영상신호는 2차원 데이터이며 데이터량이 매우 방대하여 이를 다루기 위해서는 일차원 신호처리 방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본 강좌의 내용으로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기초개념, 영상신호의 각종 변환 알고리즘, 영상강화, 영상복원, 영상통신과 저장에 많이 필요로 하는 영상압축코딩, 영상분할, 영상 표현과 공장자동화 등 자동인식에 관련한 영상인식 등 영상해석 분야와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 영상합성 분야이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and advanced concepts and theories of image processing. Course topics include: image acquisition; enhancement; restoration; transformation; analysis; understanding; compression; visual C++ software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e useful methods for the pattern recognition is neural network or fuzzy logics. Depending on the student's interest, topics will cover computer graphics and animations.
제어공학특론(Selected Topics on Control Systems)
제어공학의 다양한 분야들 중에서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주제들을 선정하여 강의한다. 다루는 주제는 고전제어이론, PID 피드백 제어, 현대제어, 신경망 등 지능제어, MATLab 활용, 로봇제어 등 다양하게 다루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 네트워크, 임베디드 시스템 등 확장된 개념의 제어문제를 다룰 수도 있다.
Control system has various aspects in its specifications depending on the industry requirements. So it is necessary to select various topics which is adaptable to the rapidly changing techniques, and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industry engineers. The topics will be classical control, PID feedback control, modern control, intelligent including neural network, MATLab, robot control, embedded system, etc. The student who take this course will be able to read and comprehend papers in their interested area.
컴퓨터공학세미나 (Selected Topics in Computer Engineering)
컴퓨터공학 분야의 발전은 매우 빠르고,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강좌는 이러한 컴퓨터공학의 발전 추세에 따라 컴퓨터 공학에 관련되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구한다.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한 발전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연구개발과제 또는 컴퓨터통신에 관련된 분야에 대하여 연구한다. 강좌의 진행은 배정된 주제별 세미나 및 강의 등으로 구성한다.
The advancement of the computer engineering is very fast and proceeded widely in association with several disciplines. In this lecture, topics will be given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or research projects using computer system or computer communication will be studied as well. The class consists of lectures and individual seminars on assigned topics.
컴퓨터통신망의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omputer Networks)
통신망의 효율적인 설계 및 사용을 위해서는 통신망의 성능 평가가 중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확률이론, 큐잉 이론, 그리고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컴퓨터 통신망들의 성능을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하여 통신망의 성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처리율 분석 및 전달 지연 시간의 예측, 측정 기법을 연구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링, 버스 토폴로지 통신망 등의 성능 특성을 유도하도록 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and estimation are important when we design computer networks. In this subject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are introduced, which include Statistics, Queuing Theory, and Simulation techniques. Throughput and delay time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or random access networks and polling networks based on ring and bus topology.
신호및잡음특론 (Advanced Theory for Signals and Noise)
통신, 회로 및 시스템, 신호처리, 제어 등 신호를 다루는 모든 전기, 전자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잡음(noise)이다. 내부의 열적(thermal) 요동현상이나 번개, 정전기 동의 외부로부터의 불규칙적인(random) 잡신호들과 같이 원치않는 신호들올 가리켜 잡음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특정들은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가 없고 그 시점에서 일어나는 확률적 현상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다. 실체적으로 얼마나 신뢰도가 높은 시스템을 설계하느냐 하는 것은 이러한 잡음들을 원하는 신호로부터 어떻게 잘 분리해냈느냐에 달려 있으므로, 이렇게 시간적으로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확률사상 즉 random process 또는 stochastic process와 스펙트럼 등의 개념을 익혀서 실제 전기, 전자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전기, 전자공학도로서의 필수적인 일이다. 따라서 본 과목의 주요목표는 확률이론과 Random process의 개념을 전기, 전자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에게 이해시키고, 이들 개념들을 필요한 전공분야에 실제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본 과목에서는 먼저 신호 및 잡음특성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확률이론 등의 기본개념, Single Random Variables, Expectation, Moments, Transformations of Single Random Variables, Multiple Random Variable, Expectations of Multiple Random Variables, Gaussian Random Variables, Random Process Concept, Stationarity, Ergodieity, Independence Autocorrelation, Cross-correlation, Gaussian Random Process, Power Density Spectrum, Cross-power Spectrum, Estimation, 및 랜덤 입력을 가지는 선형시스템 해석 등의 내용들을 다루며, 이론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개별 또는 그룹 Project를 부과할 수 있다. 본 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수학이론(즉, 미분 적분학, Fourier series, Fourier transform) 및 충격함수, 전달함수 등의 공학적 기본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더욱 유리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th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to the principles of random signals and to provide tools whereby they can handle systems involving such signa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course, they will learn some advanced concepts and methods regarding single random variables, expectation, moments, transformations of single random variables, multiple random variable, expectations of multiple random variables, Gaussian random variables, random process, stationarity, ergodicity, Independence autocorrelation, cross-correlation, Gaussian random process, power density spectrum, cross-power spectrum, estimation, and linear system analysis with random inputs.
로봇공학 (Robot Engineering)
산업용 로봇과 특수서비스 로봇으로 나누어 로봇의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며 로봇의 설계, 제작, 활용에 필요한 기구학, 역기구학, 동역학, 제어, 컴퓨터 인터페이스, 센서분야를 탐구한다. 관련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분야는 기본사항만 다루게 되며 제어분야와 알고리즘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활용을 위한 제어알고리즘과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다루며 특수서비스 로봇의 경우에는 센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각종 센서의 특정과 활용 그리고 이동 로봇의 이동 메커니즘과 알고리즘도 탐구한다.
Robot includes industrial robot and service robot. Students who take this cours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principle concept of the basic theory, design, implementation, kinematics, inverse kinematics, dynamics, control, computer interface, and sensors. The fields related to this subject is so wide, that the mechanical part will be studied in basic concept only, and control and computer interface will be handled in depth. The sensor systems in the special service robot is so important that the kinds, applications, and the mechanism of the mobile robot will be studied.
마이크로프로세서특론 (Advanced Micro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은 다른 어떠한 제품의 발전보다 빠르고 강력하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예전과 같이 간단한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에서 강력한 컴퓨터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최근에 개발되고 이용되고 있는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설계에 대해 연구한다.
The advancement of microprocessor is faster and stronger than any other products. Microprocessors were utilized as one of the components of a simple microcomputer but they are now used as a core of the powerful computer system. In this lecture, the recent-developed high performance microprocessor/microcontroller will be probed and the related design of computer system will be carefully investigated.
컴퓨터시스템특론 (Advanced Computer System)
HDL의 보급과 설계 툴의 발전은 디지털 시스템 설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디지털 시스템 설계의 기본을 학습하고, 소규모 설계로부터 시작하여 수만 게이트 급의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 대해 연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여러 가지 디지털시스템을 VHDL로 설계하고 FPGA에 구현해본다.
The digital system design is enhanced by the improvement of HDL and its design tools. In this lecture, the fundamentals of digital system design will be studied. Students will work on the small scale digital system design as well as the complex digital system design. They also will design diverse digital system using VHDL and will implement on FPGA.
레이다 공학(Radar Engineering)
레이다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를 송수신하여 멀리 떨어진 표적물의 위치, 속도 등의 정보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일컫는 것으로서, 안테나, 송신기, 수신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다는 기상관측 레이다, 항공 관제 레이다, 선박용 레이다 등 민수 분야뿐 아니라, 항공기 탑재 레이다, 함정용 레이다 등 방산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무선 센서로서 오늘날 모바일 통신 및 RFID 등이 모두 레이다에 근간을 두고 있는 기술들이다. 본 과목에서는 학부에서 배운 전자기학, 초고주파 공학, 안테나 공학을 기본지식으로 해서 레이다 시스템 설계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레이다 방정식, 송신기(Trasmitter) 및 수신기(Receiver), RCS(Radar Cross Section), CFAR detection, 추적 레이다, 레이다 신호처리 기법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레이다 응용 분야들을 다룰 것이다. 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Matlab 또는 Visual C++ 등에 대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보유하면 좋을 것이다.
Radar is an electromagnetic devices used for detection of targets by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energy and examining the reflected energy. The moder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FID were also originated from Radar technology. This subject will handle the topics of radar equation, transmitter and receiver, RCS (Radar Cross Section), CFAR detection, tracking radar, radar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 etc. The students should have a programming skill using MATLAB or C language.
임베디드시스템특론 (Advanced Embedded System)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용용 분야가 커짐에 따라 마이크로콘트롤러 응용 설계 능력은 매우 필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마이크로콘트롤러에 대한 기본 동작 원리 및 응용 설계에 대하여 학습하고 그 응용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개발 툴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소프트웨어 설계 및 하드웨어 동작을 익혀 마이크로콘트롤러 응용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강의와 실습 및 제작을 통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연구한다.
Because of the growing demands of embedded system, it is required to have the microcontroller application design capability. In this lecture, the basic operation theory and detailed application design of microcontroller will be learned and the application design capability will also be raised. Practicing embedded system development tools will be used to be familiar with the software design and hardware operation. So, the learners will have the microcontroller application design capabil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bedded system will be achieved by lectures, laboratory works, and prototyping.
디지털신호처리특론 (Advanced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처리(DSP: Digital Signal Processing)이란 음성, 데이터, 영상들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컴퓨터 또는 디지털 집적회로를 통하여 디지털 형식으로 바꾸어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일컫는 것으로서, 디지털 필터링, 증폭, 잡음제거, 디지털신호 발생 및 검출, 디지털 신호특정 검출 등을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생체신호의 분석, 음성 합성 및 인식, 지진파 등의 해석, X선 단층촬영, 영상처리, 목표물의 도래방향 각 또는 주파수 예측분야를 비롯하여 통신과 제어 계측분야 등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는 현대 과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학문 분야이다. 본 과목에서는 학부에서 배운 전반적인 디지털 신호 및 시스템에 관련된 기본지식을 가진 전기, 전자 및 통신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 학생들을 위하여,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디지털 신호처리 분야에의 용이한 접근과 그에 대한 응용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본 과목에서는 먼저 디지털 신호해석을 위한 기본적인 용어 및 기본개념, 이산신호 및 시스템 해석. Z-transform, Discrete Fourier Transform(DFT), Fast Fourier-transform(FFT) Algorithms, Infinite Impulse Response(IIR) 및 Finite Impulse Response(FIR) Filter 해석 및 설계, DSP의 응용실례 등의 내용들을 다루며, 이론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개별 또는 그룹 Project를 부과할 수 있다. 본 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Computer Programming(C, Fortran, 또는 Basic 등)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더욱 유리할 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present an introduction to digital signal processing, a field of study created by the great interest i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numerical algorithms resulting from the change in new signal processing technologies for th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ilter 설계(Filter Design)
본 교과목에서는 filter의 종류와 기본 이론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Bilinear Transfer function과 주파수 응답, 1차 필터의 cascade 설계, Biquid 회로, Butterworth 필터, chebyshev 응답과 Sensitivity Ladder design, Switched capacitor 필터, frequency scaling, OP-AW oscillator 등에 대하여 심도 있게 연구한다.
In this course we will study about the filter class and basic theory. from this basic theory, we will depth study about the Bilinear Transfer function, frequency response, cascade design of 1st order filter, Biquid circuit, Butterworth filter, chebyshev response과 Sensitivity Ladder design, Switched capacitor filter, frequency scaling, OP-AW oscillator etc.
반도체공학특론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개인별 다중 매체 소형 통신 기기의 사용에 따른 많은 정보의 처리와 저장, 디스플레이 등을 위하여 반도체 공정 기술과 집적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반도체 공학 이론 (기초 결정학, 기초 양자역학, 자유전자이론, 밴드 이론 등)과 반도체 소자의 단위 제조 공정 (에피층 증착, 산화, 확산, 이온 임플란테이션, 식각 등)들을 수업하고, 수강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반도체 공정 기술 및 집적도의 발전 추세, 새로운 반도체 재료, 소자의 구조 및 모델링과 관련된 주제에 대하여 연구한다. 강좌는 강의와 주제별 세미나로 진행된다.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ology and packing density of integrated circuits have been developing rapidly to process, store and display lots of data because of growing up of the uses of small, thin, and light personal multimedia communication devices, which are worked in low voltage. In this class, we will study about fundamentals of solid-state device theory (basses of crystallography, quantum mechanics, free electron theory, band theory, and so on.) and the standard unit device processing technique (deposition of epi-layer, oxidation, diffusion, ion-implantation, lithography, and etc.). By student interest, we will also study about the subject related to the newest processing technology and trends in packing of devices, new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 structure and modeling. The class will progress by lectures and thematic seminars.
웨이브릿 변환 (Wavelet Transform)
웨이브릿은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효율적인 신호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영상압축, 음성압축 등 각종 데이터 압축 분야와 레이다 신호 해석, 패턴 인식을 위한 특성 추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시간-주파수 영역 해석법의 개념과 기본적인 이론을 포함하여 Short-Time Fourier Transform, 연속 웨이브릿 변환, 이산 웨이브릿 변환, 적응 웨이브릿 변환 등 보다 발전된 형태의 시간-주파수 영역 해석법을 학습한다. 또한 학습한 이론을 직접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구현해 본다.
Wavelets provide efficient localization in both time and frequency. Therefore, wavelet transform is now applied to the data compression such as image compression or speech compression, and the feature extraction for various pattern recognitions. This class handles the concept of time-frequency analysis, Short-Time Fourier Transform (STFT),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CWT),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and adaptive wavelet transform (AWT). The students will be exercised in programming about various time-frequency analysis methods.
통신망특강 (Selected Topics in Communication Networks)
본 과목은 빠르게 발전하는 통신망 분야 중에서 한 특정 분야를 선정하여 그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차세대 근거리 통신망, 차세대 무선통신망, 데이터 신호의 電光 변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차세대 광통신망, 차세대 인터넷 등의 최첨단 연구 분야 중 한 분야를 선정하여 특강한다.
The areas of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 networks are changing rapidly. In this subject, one of the state of the art research topic is selected and discussed. The topic may be one of the following areas including the Next Generation LANs, wireless networks, all-optical networks, Satellite networks, and New Generation network protocols.
지능형시스템 (Intelligent Systems)
제어공학, 컴퓨터 시각 등에 지능을 부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주제는 인간의 불확실하고 애매한 언어표현을 수학적으로 논리화하여 지능적인 판단이 필요한 퍼지논리, 즉 퍼지이론의 배경과 관련이론, 응용에 필요한 이론들을 다룬다. 나아가 생물체의 유전방식을 모사한 유전자 알고리즘, 새떼나 개미 꿀벌 등의 집단 지능 활동을 모사한 particle swarm optimization, 동물의 신경망을 모사한 인공신경망 등의 주제를 공부한다.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intelligent systems and biologically inspired algorithms such as neural networks, evolutionary computations, swarm optimization and fuzzy systems. Solving complex engineering applications with a combination of these technologies as well as with more traditional approaches such as statistical system theories.
전자기학특론 (Special Topics on Electromagnetics)
본 과목에서는 학부 과정에서 배운 기본 전자기학(Elecromagnetics) 이론을 토대로 고급 과정의 전자기적 해석 기법을 다룬다. 즉, 학부 과정에서 배운 벡터 해석, 전기학 및 자기학 등을 토대로 맥스웰 방정식, 파동방정식, 매질의 전기적 특성, Green 함수, 파동의 전파 및 편파, 파동의 반사 및 투과 특성, 전송선 이론, 산란 등에 대한 식을 유도하여 이를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해 본다. 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반드시 전자기학 및 초고주파 공학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하며, 프로그래밍 능력을 가져야 한다.
This class handles the advanced analysis methods on Electromagnetics based on the basic Electromagnetic theory of undergraduate level. The scope of topics are the Maxwell equation, wave equation, electrical property of matter, Green's function, wave propagation and polarization, reflection and transmission, transmission line theory, scattering, etc. Prerequisite for this course is a basic knowledge about field theory and microwave engineering. The students should have a programming skill using MATLAB or C language.
RF회로특론 (Selected Topics on RF Circuits)
대용량, 초고속 무선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마이크로파 및 미리미터파 대역의 무선통신망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망 구축의 필수적인 요소는 RF 송수신 단말기이다. 본 과목에서는 RF 송수신 단말기의 핵심 부품인 전력 증폭기, 믹서, 저잡음 증폭기, 발진기, 필터 회로들을 수업하고 수강자의 관심분야에 따른 회로를 설계한다. 강좌는 강의와 회로 설계 (기말 과제)로 진행된다.
The micro- and milli-meter band wireless communication web, which is based on mass capacity and very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is building up rapidly in the world. The RF Transceiver is indispensable to building up the Wireless Communication Web. In this Class, we will study about power amplifiers, oscillators, mixers, low noise amplifier, and filters, and so on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RF transceiver. Also, we will design the circuits with student's deep interest. The Class will progress by lectures and design of the circuit (term-project).
혼성모드집적회로설계 (Mixed-Mode Integrated Circuit Design)
본 교과목은 CMOS 혼성모드 집적회로 설계 기법을 다룬다. SPICE 시뮬레이션 및 CAD 툴을 이용하여, 완전 차동 연산증폭기, 밴드캡 전압원,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 트랜지스터 레벨 CMOS 디지털 로직 등의 회로를 설계한다. 또한, 저전력/저전압 집적회로 설계기법 다룸으로써 최근 집적회로 설계 동향도 다루고자 한다.
In this course, CMOS mixed-mode integrated circuit design methodology will be covered. Circuits including a fully differential op-amp, a band-gap reference, a switched-capacitor circuit, and transistor-level CMOS digital logic circuits will be designed through SPICE and CAD tool. Also, recent design trend of integrated circuits will be dealt with by studying low-power/low-voltage integrated circuits.
의용계측집적회로설계 (Bioinstrumentation Integrated Circuit Design)
본 교과목은 초음파 의료영상기기 등과 같은 의용계측기를 위한 CMOS 집적회로 설계를 다루고자 한다. 초음파 및 트랜스듀서의 물리적 특성, 초음파 의료영상 기기 구조, 빔포밍 원리 등을 개론으로 다룬다. 또한 가변전압이득 증폭기, 데이터변환기 등 관련된 응용회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본 교과목 수강을 위해, 혼성모드집적회로설계 교과목을 이수할 것을 추천한다.
CMOS integrated circuit designs for bio-instrumentation such as ultrasound medical imaging applications will be covered in this course. Nature of ultrasound and transducer, an architecture of ultrasound medical imaging device, and a beamforming principle will be studied as an introduction of this class. Also, circuits including linear-in-dB variable gain amplifiers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s for medical imaging applications will be intensively studied. A lecture of mixed-mode integrated circuit design is recommended as a prerequisite subject for this lecture.
석사논문연구 1
석사과정 4학기생이 처음 받는 논문지도.
석사논문연구 2
석사논문연구1을 이수하고 마지막 학기 또는 논문심사를 받고자 하는 학기의 논문지도.